넷플릭스를 처음 시작했을 때만 해도 요금제가 단순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광고형 스탠다드, 일반 스탠다드, 프리미엄까지 다양한 선택지가 생겼죠.
지난 1년 6개월 동안 세 가지 요금제를 모두 사용해보며 실제로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 체험해보았죠. 이 글에서는 이 경험을 바탕으로, 당신에게 진짜 맞는 넷플릭스 요금제를 함께 찾아드리겠습니다.
『 '뷰잇스'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는? 』
넷플릭스 요금제 한눈에 비교
먼저 세 가지 요금제의 핵심 차이점을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구분 | 광고형 스탠다드 | 스탠다드 | 프리미엄 |
가격 | 월 5,500원 | 월 13,500원 | 월 17,000원 |
화질 | 1080P(풀 HD) | 1080P(풀 HD) |
4K(UHD) + HDR
|
동시 접속 | 2명 | 2명 | 4명 |
콘텐츠 저장 | 2개 디바이스(디바이스당 15개) | 2개 디바이스(디바이스당 100개) |
6개 디바이스(디바이스당 100개)
|
광고 | 있음 | 없음 | 없음 |
추가 회원 | 등록 불가 | 1명 가능 | 2명 가능 |
음향 | 일반 | 일반 |
공간 음향(이머시브 사운드)
|
이제 각 요금제의 특징과 실제 사용 경험을 자세히 살펴보시죠.
광고형 스탠다드 vs 일반 스탠다드
1. 광고형 스탠다드
광고형 스탠다드 요금제는 월 5,500원으로 넷플릭스의 가장 저렴한 옵션입니다. 이 요금제는 기존 스탠다드 요금제와 동일하게 1080p(풀 HD) 화질을 제공하지만, 콘텐츠 시청 중간에 광고가 포함됩니다.
제가 직접 사용해본 결과, 1시간 기준으로 약 4분 정도의 광고를 시청해야 했으며, 광고는 스킵할 수 없었습니다. 처음에는 '에이, 광고 좀 보면 어때'라고 생각했지만, 긴장감 넘치는 장면에서 갑자기 광고가 나오면 몰입도가 크게 떨어지더라고요.
또한 일부 콘텐츠는 라이센스 문제로 시청이 제한될 수 있다는 점도 단점이었습니다. 제가 보고 싶었던 일부 인기 시리즈를 볼 수 없었을 때는 정말 아쉬웠죠.
콘텐츠 저장 측면에서도 제한이 있습니다. 광고형 스탠다드는 최대 2대의 디바이스에 각각 15개의 콘텐츠만 저장할 수 있어, 자주 여행하는 저에게는 부족했습니다. 통계에 의하면 역시 무조건 이용하겠다는 3.3% 밖에 안되네요.
2. 일반 스탠다드
일반 스탠다드 요금제는 월 13,500원으로, 광고형보다 8,000원이 더 비쌉니다. 하지만 광고 없이 모든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고, 디바이스당 100개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스탠다드 요금제부터는 '추가 회원'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함께 살지 않는 사람 1명을 추가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어, 월 5,000원을 추가하면 다른 집에 사는 가족이나 친구와 계정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제 경험상, 광고 없이 시청하는 것만으로도 8,000원의 가치는 충분했습니다. 특히 주말에 몰아보기를 할 때는 광고 때문에 흐름이 끊기지 않아 훨씬 더 즐거운 시청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프리미엄 요금제, 혜택은?
프리미엄 요금제는 월 17,000원으로, 스탠다드 요금제보다 3,500원이 더 비쌉니다. 과연 이 추가 비용이 가치가 있을까요? 3가지 혜택이 있어요.
1. 4K 화질과 공간 음향의 차이
프리미엄 요금제의 가장 큰 장점은 4K(UHD) + HDR 화질과 공간 음향(이머시브 사운드) 지원입니다. 대형 TV나 좋은 사운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면, 이 차이는 확실히 체감됩니다.
집에서 65인치 TV로 ‘오징어 게임’을 시청 했을 때, 스탠다드와 프리미엄의 화질 차이는 생각보다 크더군요. 특히 어두운 장면에서 HDR의 효과가 두드러졌고, 공간 음향은 마치 영화관에 있는 듯한 몰입감을 주더군요.
2. 동시 접속과 콘텐츠 저장
프리미엄 요금제는 최대 4명이 동시에 접속할 수 있고, 최대 6개의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스탠다드가 2명 동시 접속, 2개 디바이스 저장인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입니다.
4인 가족인 우리 집에서는 각자 다른 콘텐츠를 보고 싶을 때가 많았는데, 프리미엄 요금제로 바꾼 후에는 "누가 먼저 볼까?" 하는 논쟁이 사라졌죠. 또한 가족 구성원 모두의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어 여행 갈 때도 편리했습니다.
3. 추가 회원 등록의 확장
프리미엄 요금제는 함께 살지 않는 사람을 최대 2명까지 추가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탠다드의 1명보다 더 많은 옵션을 제공합니다.
저는 지방에 사는 부모님과 동생에게 각각 추가 회원 자격을 부여했습니다. 월 10,000원(1인당 5,000원)을 추가로 내면 세 가구가 넷플릭스를 즐길 수 있으니, 결과적으로 가구당 비용은 약 9,000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넷플릭스 동시 접속과 추가 회원
넷플릭스의 동시 접속과 추가 회원 정책은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부분입니다. 제가 직접 경험하며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1. 동시 접속 vs 추가 회원의 차이
동시 접속은 같은 계정으로 여러 기기에서 동시에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반면, 추가 회원은 함께 살지 않는 사람을 위한 별도의 프로필을 만들어주는 기능입니다.
- 광고형 스탠다드: 동시 접속 2명, 추가 회원 등록 불가능
- 스탠다드: 동시 접속 2명, 추가 회원 1명 등록 가능
- 프리미엄: 동시 접속 4명, 추가 회원 2명 등록 가능
2. 추가 회원 등록 시 알아야 할 점
추가 회원으로 등록된 계정은 1개의 프로필만 사용 가능하며, 동시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즉, 추가 회원은 자신만의 개별 계정처럼 사용하게 됩니다.
추가 회원 등록 비용은 광고형 멤버십으로 추가 등록하는 경우 월 4,000원, 광고 없는 멤버십의 경우 월 5,000원입니다. 이는 기본 요금제와 별개로 추가되는 비용입니다.
넷플릭스 요금제 절약 꿀팁
넷플릭스를 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보았습니다. 제가 직접 시도해 본 방법들을 공유합니다.
1. 할인 카드 활용하기
특정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넷플릭스 구독료를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 KB국민 My WE:SH 카드: 넷플릭스를 포함한 OTT 서비스 구독료의 30% 할인 (건당 최대 2,500원, 월 최대 5,000원)
- LOCA 365 카드: 넷플릭스 1,500원 할인
- 올바른 FLEX 카드: 넷플릭스 구독료의 20% 청구할인 (건당 7천 원 이상 결제 시)
저는 KB국민 My WE:SH 카드를 사용하여 프리미엄 요금제를 월 5,000원 할인받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12,000원에 프리미엄 요금제를 이용하는 셈이죠.
2. 가족/친구와 비용 나누기
프리미엄 요금제(월 17,000원)는 최대 4명까지 동시 시청이 가능합니다. 가족이나 친구와 비용을 나누면 1인당 약 4,500원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프리미엄(4명) | 추가 2명 | 합계 | 인당 |
17,000 | 5000x2=10,000 | 27,000 |
27,000/6=4,500원
|
단, 넷플릭스 정책상 가족 구성원(같은 집 주소)만 공식적으로 계정 공유가 가능하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3. 통신사 결합 요금제 활용하기
통신 3사(KT, SKT, LG U+)는 특정 요금제(예, T 우주패스 Netflix)에 가입하면 넷플릭스 멤버십을 제공합니다. 현재 사용 중인 통신 요금이 높다면, 이 방법을 통해 넷플릭스를 추가 비용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4.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활용하기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가입하면 넷플릭스 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 네이버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면 고려해볼 만한 옵션입니다.
콘텐츠 저장 용량과 지원 기기 수
넷플릭스 요금제별로 콘텐츠 저장 용량과 지원 기기 수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특히 오프라인 시청을 자주 하는 분들에게 중요합니다.
1. 요금제별 콘텐츠 저장 한도
- 광고형 스탠다드: 2대의 디바이스에 각각 15개의 콘텐츠 저장 가능
- 스탠다드: 2대의 디바이스에 각각 100개의 콘텐츠 저장 가능
- 프리미엄: 6대의 디바이스에 각각 100개의 콘텐츠 저장 가능
제가 광고형 스탠다드를 사용할 때는 저장 한도가 금방 차서 불편했습니다. 특히 시리즈물을 저장하려면 에피소드 하나하나가 카운트되기 때문에, 15개는 생각보다 빨리 채워집니다.
2. 저장 용량 관리 팁
넷플릭스 앱에서 '영상 저장 디바이스 관리' 메뉴를 통해 등록된 기기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기기를 삭제하면 새로운 기기에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등록된 기기를 삭제하면 해당 기기에 저장되어 있던 콘텐츠도 함께 삭제된다는 것입니다.
나만의 요금제 선택
지금까지의 비교를 바탕으로, 어떤 상황에 어떤 요금제가 적합한지 정리해보겠습니다.
광고형 스탠다드가 적합한 경우
- 비용을 최소화하고 싶은 1인 가구
- 주로 모바일에서 짧은 시간 동안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
- 광고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 시청자
- 오프라인 저장 기능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경우
스탠다드가 적합한 경우
- 광고 없이 콘텐츠를 즐기고 싶은 1-2인 가구
- 함께 살지 않는 가족/친구 1명과 계정을 공유하고 싶은 경우
- 오프라인 저장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우
- 4K 화질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경우
프리미엄이 적합한 경우
- 3-4인 가구 또는 동시 시청이 많은 가정
- 4K TV와 좋은 사운드 시스템을 갖춘 시청 환경
- 함께 살지 않는 가족/친구 2명과 계정을 공유하고 싶은 경우
- 여러 디바이스에 콘텐츠를 저장해야 하는 경우
결론
넷플릭스 요금제는 각자의 시청 습관과 환경에 따라 최적의 선택이 달라집니다. 저는 처음에 비용 절감을 위해 광고형 스탠다드로 시작했지만, 광고의 불편함과 저장 한도의 제한으로 스탠다드로 업그레이드했습니다. 그리고 결국 가족 모두가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프리미엄으로 정착했습니다.
여러분의 상황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시고, 이 글에서 소개한 할인 방법들을 활용하시면 더욱 경제적으로 넷플릭스를 즐기실 수 있을 것입니다.
유튜브 프리미엄 우회 없이 4천원으로 이용하는 합법적인 방법
유튜브 프리미엄의 가격 인상으로 인해 많은 사용자가 더 저렴한 방법 없을까 찾고 있는데요. 영상에 집중하고 있는데 갑자기 튀어나오는 광고 때문에 한숨 푹 쉬었던 기억이 나네요 이 글에서
youcan-doit.co.kr
'제품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팟 프로 2 연결 오류, 블루투스가 자꾸 끊기는 진짜 이유와 해결법 (0) | 2025.04.23 |
---|---|
휴대폰 해킹 확인방법, SKT 해킹사고 이후 꼭 확인 항목 (1) | 2025.04.23 |
그록3 무료 사용법: 모바일, 한국어 지원부터 챗GPT와의 차이점까지 (1) | 2025.04.21 |
지브리 스타일 챗GPT 하는법, 누구나 쉽게 하는 무료 프롬프트 공개! (7) | 2025.04.21 |
넥가드닥터 NG100 후기, 백지영 목견인기 진짜 효과는? (2) | 2025.04.19 |